스트레스 탓 '소화불량'약 보다는 생활습관 개선과 식이요법이 우선
50대(15.5%) > 40대(13.6%) > 30대(12.4%) 순(順)
기사입력 2013-02-13 16:03 최종편집 경남우리신문
작성자 안기한 기자
본문
0
▶ 2011년 진료인원 64만명 … (男) 25만 9천명 (女) 38만 2천명▶ 2011년 인구 10만명당 환자수 … (男) 1,042명 (女) 1,560명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최근 6년(2006~2011년) 동안의 ‘소화불량(K30)’ 질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6년 48만 9천명에서 2011년 64만명으로 15만명 가량 늘어나 연평균 5.5%의 증가율을 보였다.
남성은 2006년 19만 8천명에서 2011년 25만 9천명 늘었으며, 여성은 2006년 29만 1천명에서 2011년 38만 2천명으로 늘어났다.
< 연도별 ‘소화불량’ 진료추이 >(단위 : 명)
구 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연평균 증가율 |
전체 |
489,251 |
506,876 |
512,638 |
559,175 |
618,246 |
640,514 |
5.5% |
남성 |
197,831 |
204,557 |
208,111 |
225,124 |
246,613 |
258,722 |
5.5% |
여성 |
291,420 |
302,319 |
304,527 |
334,051 |
371,633 |
381,792 |
5.6% |
2011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인원 비율을 보면 50대가 15.5%를 차지하여 다른 연령층에
|
2011년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성별․연령대별로 보면 남성은 80세 이상 3,079명 > 70대 2,719명 > 9세 이하 1,716명 > 60대 1,656명 순(順)으로 많았고, 여성은 70대가 3,008명, 그 다음은 80세 이상 2,638명 > 60대 2,244명 > 9세 이하 1,733명 순(順)이었다.
< 2011년 연령대별 인구10만명당 ‘소화불량’ 환자수 >
|
최근 6년간 ‘소화불량’ 질환에 지출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6년 197억원에서 2011년 346억원으로 1.8배 증가했다.
< 연도별 ‘소화불량’ 진료비 / 급여비 추이>(단위 : 백만원)
구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연평균 증가율 |
진료비 |
19,688 |
21,481 |
23,246 |
26,875 |
31,553 |
34,628 |
12.0% |
급여비 |
13,477 |
14,634 |
15,560 |
17,638 |
20,655 |
22,637 |
10.9% |
<?xml: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원선영 교수는 ‘소화불량’ 질환의 원인, 치료법, 생활습관 개선방법 및 식이요법 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소화불량’의 정의
소화불량이란 용어는 널리 사용되지만 의료인에게나 일반인에게나 아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된다. 소화불량이라는 용어는 원인이 무엇인지 상관없이 상복부 증상이 있는 모든 경우를 포함한다.
크게 증상을 설명할 만한 질환이 있는 기질성 소화불량증과 현재 가능한 검사방법으로는 이 증상을 일으킬 만한 어떤 소견도 관찰되지 않는 기능성 소화불량증으로 나눌 수 있다.
보통 진단적 의미로 말하는 소화불량은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말하며 상복부에 중심을 둔 통증이나 불편감이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불편감에는 상복부만복감, 조기포만감, 팽만감, 오심, 구역, 트림 등의 다양한 증상이 포함된다.
❍ ‘소화불량’의 원인
병리생태도 여러가지로 설명되는 이질적인 모임의 집합체이다. 한가지 원인으로 설명할 수 없고 명확하게 밝혀진 원인은 없다.
현재까지 대두되는 원인으로는 위저부의 위적응 장애, 위장관의 운동이상, 위 내장감각의 비정상적인 예민성, 정신사회적 요소, 산 분비 이상, 십이지장의 기능이상, 헬리코박터균등의 위장관 감염 등이 유력한 발생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 ‘소화불량’ 환자가 많은 이유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일차, 이차, 삼차 의료기관에서 모두 가장 흔한 소화기질환이다. 하지만 유병률에 대한 정확한 연구는 없으며 의료기관을 찾지 않고 제산제, 소화제 등을 먹는 환자까지 포함하면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들어 환자가 늘어난 명확한 원인은 없으나 일부 연구에서 지나친 스트레스가 기능성 소화불량의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최근 스트레스의 증가가 그 원인일 수 있다.
❍ ‘소화불량’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개선방법과 식이요법
소화불량증 환자들의 대부분은 증상이 음식과 관련이 있다고 호소하며 기름지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섭취하면 증상이 나빠진다고 한다.
고지방음식은 위 배출기능을 떨어뜨리므로 소화불량을 주로 호소하는 환자는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카페인 음료나 알코올,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에 대한 제한이 치료에 도움이 될 수도 있으며 식이섬유는 위 내용물의 배출을 느리게 하므로 소화력이 많이 떨어져있는 환자는 제한하는 것이 좋다.
이 밖에 식생활 습관의 교정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불규칙한 식생활은 장기간의 결식으로 인한 위장 점막의 위축이나 위산에 의한 손상을 일으키며 그 후 과식에 의한 소화불량의 증상의 악화를 초래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밤늦은 식사는 밤에 생리적인 위배출기능 저하로 인해 소화불량 증상이 악화되고, 식후의 과격한 운동도 위배출기능 저하, 위식도 역류에 의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즐겁지 않은 식사도 역시 위 배출기능을 떨어뜨리며 급한 식사습관도 위의 이완기능을 활용하지 못하여 트림, 복부팽만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음식을 천천히 씹은 후 식사하는 습관도 중요하다.
❍ ‘소화불량’의 치료법
상복부 증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우선 기질적 질환의 유무를 명확하게 검사 한 후에는 반복적인 검사를 하는 것 보다는 의사와의 긴밀한 상담 후 증상에 맞는 약물을 투약하는 것이 좋다.
정신치료는 증상이 심하고,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도움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