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경남우리신문]진주시는 농작업 활동 중 ‘넘어짐·미끄러짐·떨어짐’ 등의 손상사고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수확철을 맞아 농업인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
농촌진흥청에서 발표한 ‘2023년 농업인의 업무상 손상조사’ 결과에 따르면, 1일 이상 휴업이 필요한 농업인의 업무상 손상(비사망 사고) 발생률은 2.6%로 집계돼 주의가 요구된다.
연령대별로는 50세 미만이 1.0%, 50대 2.0%, 60대 2.8%, 70세 이상이 3.0%로 조사돼 나이가 많을수록 손상 발생률도 높았다. 또 작목별로는 과수 3.9%, 밭 2.8%, 논 2.7%, 시설 2.3%로 과수작목을 재배하는 농업인에게서 농작업 관련 손상률이 높았다.
휴업 1일 이상의 농작업 관련 손상사고 발생형태를 살펴보면, ‘넘어짐·미끄러짐’으로 인한 손상사고가 31.5%로 가장 많았고, ‘떨어짐’ 21.3%, ‘승용농업기계 단독 운전사고’ 13.8% 순으로 나타났다.
손상발생과 관련된 농업기계로는 경운기 24.0%, 트랙터 16.2%, 관리기 15.2%, 예취기 10.1% 순으로 조사됐으며, 사고 시 ‘직접 운전중’이 80.1%로 높게 나타났다. 손상 발생과 관련된 농기구는 사다리가 51.7%로 절반이 넘었다.
이에, 시는 단감 등 과수의 본격적인 수확철을 맞아 고소작업차, 동력운반차 등 농기계를 운행하거나 사다리 작업으로 인한 추락사고 예방을 위해 농업인에게 농작업 안전수칙을 준수하도록 적극 지도하고 있다.
농작업 전의 안전수칙으로는 사다리 상태점검 ,농기계 운행 및 사다리 설치장소 확인 ,주변 위험요소 제거 및 안전모 등 작업자 보호구 착용 , 외부인력 고용 시 작업 전 안전교육 실시 등이다.
또한 농작업 중의 안전 수칙으로는 ,몸을 무리하게 기울이거나 사다리 위에 2명 이상 오르기 금지 ,임시 받침대나 구조물을 사다리 대용으로 사용금지 ,도구를 손에 들고 오르거나 한손작업 금지 ,비· 강풍· 어두운 환경에서 무리한 작업 금지 등이다.
이 밖에도 피로가 누적되기 쉬운 시기인 만큼 피로가 누적되지 않게 충분한 휴식을 취하며 농작업 중 틈틈이 몸풀기로 건강을 챙겨야 한다.
시 관계자는 “수확 시기에 상품성 높은 과실을 수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안전도 함께 챙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농작업 현장과 자신의 건강상태를 살피며 안전하게 농작업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