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 함안 말이산고분군에서 5세기 아라가야와 신라의 교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 유물 출토 | 문화재

본문 바로가기

메인 롤링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문화재
세계유산 함안 말이산고분군에서 5세기 아라가야와 신라의 교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 유물 출토
기사입력 2025-10-15 17:43   최종편집 경남우리신문
작성자 조성기

본문

[경남우리신문]함안군은 지난 1일과 13일 국가유산청 국가유산 보수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함안 말이산고분군 말산리 437번지 일원 발굴조사’ 성과 공개를 위해 현장공개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현장공개회는 발굴조사 기관인 재단법인 경남연구원이 진행했으며, 조사 개요 설명과 현장 안내 순으로 진행됐다. 행사에는 함안군 관계자, 학계 전문가, 지역주민, 명덕고등학교 학생 등 250명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1994182814_g7bDOV1P_98f5b388e92f087de1d8
▲불꽃무늬굽다리접시 출토 모습(사진=함안군)     ©경남우리신문 편집국

조사 대상지는 말이산고분군이 처음 조성된 중심 구역 동구릉 북쪽으로, 우리나라 최초로 말갑옷이 확인된 마갑총 인근에 위치해 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이번 조사 결과, 널무덤(木棺墓) 6기와 덧널무덤(木槨墓) 18기가 새롭게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말이산고분군 조성 초기 무덤 형식 변화와 공간 구성 방식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확보됐다.

 

출토 유물로는 화염형투창고배(火焰形透窓高杯) ,목짧은항아리 ,말갖춤(馬具) ,덩이쇠(鐵鋌) ,쇠화살촉(鐵鏃) ,미늘쇠(有刺利器) ,금제 귀걸이(金製耳飾) 등 아라가야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들이 확인됐다.

 

특히 16호 덧널무덤(木槨墓)에서는 삼누환두대도(三累環頭大刀)가 출토되어 주목된다. 이 유물은 지금까지 신라 왕묘급 무덤에서만 출토되던 위세품(威勢品)으로, 아라가야 역사권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된 사례다. 이는 5세기 전반 아라가야와 신라 간 교류 관계를 밝히는 데 매우 중요한 연구 자료다.

1994182814_5rw1AdZW_789ad161dec59572fa69
▲삼누환두대도 출토 모습  (사진=함안군)    ©경남우리신문 편집국

 

조사단은 “이번 발굴은 아라가야 왕도 함안의 위상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학술 성과”라며 “특히 삼누환두대도 출토는 아라가야와 신라의 교류 관계와 매장 절차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했다”고 평가했다.

 

함안군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말이산고분군의 세계유산적 가치가 다시 확인되었다”며 “삼누환두대도는 전문 분석과 보존 처리를 거친 뒤 함안박물관에 전시하여 군민과 관람객에게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스토리로 보내기
  • 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 블로그로 보내기
  • 인쇄하기
많이 본 뉴스
신문사소개 | 기사제보 | 광고문의 | 불편신고 | 저작권문의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 무단 수집거부
본사: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동5길 18 2층 ㅣ 대표전화 : 070) 4038-2583ㅣ 팩스 : 070) 4300-2583 ㅣ 편집국 전화 : 0505) 871-0018ㅣ등록번호: 경남 다 01458ㅣ등록일자: 2012.01.31 ㅣ회장:박대홍ㅣ발행/편집인:안기한 ㅣ 편집국장: 김호경ㅣ법률고문:박종호 변호사ㅣ청소년보호책임자:안기한 ㅣ기사배열 책임자:황미현 ㅣ경남우리신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 을 금합니다.ㅣ 자매지:창원times,시사우리신문 ㅣ 기사제보 : agh0078@hanmail.net
Copyright ⓒ 2017 경남우리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