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경남우리신문]경상남도 유보통합 추진 지원을 위한 특별위원회(위원장 노치환)는 지난 14일 제2차 회의를 개최하여 특위 활동계획서를 채택하고 도청과 교육청으로부터 유보통합 추진현황에 대한 업무보고를 받고, 경남형 유보통합 추진을 위한 협력 기반을 다졌다.
이번 업무보고는 지방 차원의 유보통합 준비 상황을 공유하고, 보육업무 이관에 따른 제도·조직·예산 정비 과제에 대한 도의회의 이해를 높이는 한편, 현장의 의견을 도정·교육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소통의 자리로 마련되었다. 주요 보고 내용으로 도내 보육관련 현황(예산‧영유아‧어린이집) ,유보통합 협력단·실무단 구성 및 지방관리체계 일원화를 위한 추진사항 ,장애영유아 보육 및 특수교육 지원 현황 등 3건의 현안사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이에 대한 질의와 답변도 이어졌다.
|
김현철 위원(사천2, 국민의힘)은 “현재 유보통합 협력단·실무단이 구성되어 있지만, 실무진에서조차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 같아 아쉽다”고 지적하였으며, 김일수 위원(거창2, 국민의힘) 또한 “유보통합추진단이 신설된 지 1년이 지났음에도 구체적인 목표나 성과가 보이지 않는다.”며, 지지부진한 추진 상황을 질타하였다.
정수만 부위원장(거제1, 국민의힘)은 “중앙정부의 정책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지방정부 차원에서 능동적으로 건의도 하고, 경남형 유보통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특위와 집행부가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치환 위원장은 “유보통합은 아직 법률적·제도적 뒷받침이 부족한 상황이지만, 영유아와 학부모, 보육·교육 종사자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사안인 만큼, 경남에서 실행 가능한 영역부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수도권과 달리 경남은 농어촌과 도시 간 보육환경의 격차가 크기 때문에, 도농 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절실하다”며 도청과 교육청의 긴밀한 협력을 강력히 당부했다.